Other Studies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Crime Countermeasure Theory Ⅱ [대충매체와 범죄예방]- 매체의 설명(보도된 범죄수준 포함)과 실제 범죄 차이 & 두려움 원인 가능성- 대중매체의 범죄예방활동- 범죄예방에 대한 언론 책임 Intro)물리적 설계 / 이웃범죄예방프로그램 (범죄/두려움에 유효한 영향 - 단, 참여도/접근성/전이 현상 발생으로 제한적 영향)→ 넓은 범위/참여 유도 및 범죄대책 도구 활용 (범죄선택 범위 축소 효과)→ 대중매체(범죄보도 친화성+증가추세) 역할: 광범위 범죄대처활동 실현 가능EX) 신문기사/TV뉴스/오락 프로그램 * 왜곡 보도 가능성(한정된 범죄/과장+화제성 보도/불안전+부정확 정보제공) - 지역사회 부적절한 범죄이미지 생성/범죄 두려움 증가- 고등학생 연구: 응답자 선호 매체 & 폭력수준 연관성 검증- 벨슨 연구: 매체(영화) 폭력에 노출성 -.. Crime Countermeasure Theory Ⅰ Overview of Crime Prevention What are the risks?= Asset (자산), Vulnerability (취약성), Threat (위협) 보안 x 범죄 x 대책1) Crime: An act that violates criminal law2) Security: Control risks & Stay safe (kinds: Administrative, Technical, Physical)3) Prevention: Prevent crime in advance Risk Management1) Identification of Risk Scale = F (Asset x Vulnerability x Threat)*자산, 취약성, 위협 식별2) Evaluation of risks *위험평.. 이전 1 다음